인도의 작은 나라 <카필라 성>의 왕자로
석가모니 부처님은 탄생하셨습니다...
아버지는 <정반왕>이며, 어머니는 <마야부인> 이랍니다.
마야부인이 흰코끼리가 옆구리로 들어오는 꿈을 꾸고 석가모니 부처님을 잉태하였습니다..
아기를 낳기 위해 고향으로 가던 중,망고나무 동산에서 무우수(無憂樹)나무 가지를 잡고 마야부인의 옆구리에서 부처님이 탄생하셨습니다..
이때 하늘나라 용 두 마리가 좌우에서 찬물과 더운물을 나란히 함께 뿌려서 부처님을 씻겨 주셨습니다..
부처님은 태어나자 마자 일곱걸음을 걸으시고
하늘과 땅을 가르키며, "천상천하 유아독존 삼계개고 아당안지" 라고 외치셨습니다.
이는 <천상천하 유아독존>(天上天下 唯我獨尊) 이란, 인간존엄의 선언이라고 합니다..
<삼계개고 아당안지>(三界皆苦 我當安止) 란,
욕망의 세계, 물질의 세계, 정신의 세계 이 모든 우주가 괴로운 세계이니, 이를 내가 편안하게 하겠다는 뜻 입니다.
부처님의 어릴때 이름은 <고타마 싯다르타> 입니다.
싯다르타 태자가 태어나자 <아싯타 선인>이 찾아와,
태자가 온 세상을 다스리는 전륜성왕이 되지 않으면
출가하여 위대한 성자가 되리라고 예언 합니다..
이에 아버지 정반왕은 싯다르타에게 출가하지 않도록 온갖 선물과 즐거운 생활을 누리게 합니다..
이웃나라 공주인 <야소다라>와 결혼을 하여 왕자도 낳게 됩니다.. 왕자의 이름은 <라훌라>(장애:싯다르타가 도를 닦는데 장애가 된다해서 그런 이름이 됨)랍니다.
그렇지만 싯다르타는 4번의 성문 밖 외출을 통하여
생, 로, 병, 사(生, 老, 病,死)의 괴로움(四苦)을 알게 됩니다.
이때에 늙어 구부러진 허리에 추한 몰골을 한 사람을 보고 노고(老苦)를 알게 되고, 병들어 괴로와 하는 사람을 보고 병고(病苦)를 알게 되고, 죽은 사람이 시신을 보고 사고(死苦)를 알게 됩니다..
그리하여 한밤중 마부 <차익>을 이끌고 적토마를 타고서 성문을 뛰어넘어 출가를 하게 됩니다..
화려한 태자의 옷을 버리고 수행자의 옷을 입게 됩니다.
세 사람의 성인을 찾아가 수행을 배워 최고의 경지에 오르지만, 그것이 궁극의 깨우침이 아닌줄 알고 혼자 설산(히말라야산)에 들어가 6년 동안 고행을 하게 됩니다..
그러나 몸을 괴롭히는 고행 역시, 세상의 쾌락과 마찬가지로 잘못된 것임을 깨닫고 고행을 그만두게 됩니다..
<니란자하강>에 가서 몸을 씻고 마을처녀 <수자타>에게 유미죽을 공양 받으시고 다시 금강좌에 앉으십니다..
그리하여 마침내 선정에 들어 새벽별을 보고 깨달음을 얻게 됩니다..
부처님은 처음 <화엄경>을 설하시고 나서 중생들의 근기에 맞추어 다시 쉬운 <아함경>을 설하시고 그 다음 <반야경> :우리가 잘 아는 <반야심경>과 유명한 <금강경>이 포함되어 있어요과 드디어 영축산에서 <법화경>을 설하시게 됩니다..
그리하여 마지막으로 <열반경>을 설하시고,사라쌍수 아래에서 <춘다>의 버섯공양을 받으시고 열반에 드시게 됩니다..
하늘나라의 천신이 내려와 다비식을 하기 위해 관에 불을 붙여도 타지 않다가 부처님께서 가슴에서 삼매로 불을 일으켜서 다비를 하게 됩니다..
수많은 진신사리가 출현하게 되어 각국의 왕들이
공평하게 분배하여 가져가 탑을 세우고 부처님사리를
모시게 됩니다.
부처님이 열반하시고 제자들이 모여,
법을 이으신 <가섭존자>께서 이끌고, 부처님 시자로서 가장 많이 부처님 말씀을 옆에서 들었던 <아난존자>께서 경을 외우고 읊으면 다른 오백의 제자들이 함께 경을 외워서 경전이 성립하게 됩니다.
<아함경>에는 <법구경>과 같은 쉽고 간결한 가르침이 많고, <화엄경>에는 <선재동자>의 구도여행과 같은 어려운 법문들이 포함되어 있답니다..
<반야경>에는 <반야심경>과 <금강경> 같이 공(空)의 도리를 설명한 경전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고,
최고의 가르침인 <법화경>에는 "인간은 누구나 불성을 갖고 있어서 누구나 깨달음을 얻어 부처가 될수 있다"고 가르칩니다.
<열반경>에는 "계율에 의지하고 자기자신에 의지하여 부처님가르침을 공부해 나갈 것"을 당부하고 있답니다..
부처님의 기본 가르침에는 <사성제>(四聖諦)가 있는데, 고, 집, 멸, 도 가 그것 입니다..
⊙ 고(苦) : 이 세상은 욕망을 추구하기 위하여 서로 싸우는 괴로움이 가득한 세계라는 가르침
⊙ 집(集) : 괴로움의 원인은 집착에 있다는 가르침
⊙ 멸(滅) : 집착을 끊어 없애는 길을 배워야 한다는 가르침
⊙ 도(道) : 집착을 없애는 방법은 기도와 수행을 통해 부처님 가르침을 공부해야 한다는 가르침 대표적으로 <팔정도>(八正道)가 있답니다..
◈ 팔정도 : 정견, 정사유, 정어, 정업,
정명, 정정진, 정념, 정정
정견(正見) : 바른 견해
정사유(正思惟) : 바른 생각
정어(正語) : 바른 말
정업(正業) : 바른 직업
정명(正命) : 바른 생활
정정진(正精進) : 바른 노력
정념(正念) : 바른 집중
정정(正定) : 바른 삼매
석가모니 부처님의 근본적인 가르침은,
<제악막작 중선봉행 자정기심 시제불교>
(諸惡莫作 衆善奉行 自淨其心 是諸佛敎)라고
요약할 수 있답니다...
<모든 악을 그치고, 온갖 선을 받들어 행하라..
그리하여 그 마음을 깨끗이 하는 것,
이것이 모든 부처님의 가르침 이니라.....>